우울증 테스트 초기증상 항우울제 부작용 알려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군의 헬스앤네이처 입니다.
우울증은 심한 슬픔, 무기력, 흥미상실, 자존감 저하 등 다양한 심리적 신체적 증상을 포함하는
정신 건강 질환을 말하는데요
우울증 테스트와 함께 초기증상 그리고 항우울제 복용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우울증은 왜 발생할까요?
사실 우울증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스와 로마시대에서부터 우울과 우울한 기분에 대한 언급을 문헌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중세 시대에는 멜랑콜리아 (Melancholia) 라는 우울증과 유사한 증상을 표현하는 용어가 사용이 되었을 정도로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19세기에는 우울증에 대한 연구와 발전이 이루어졌는데, 프랑스의 정신과 의사인 장에스티앙 에스키페는 19세기 초반 멜랑콜리아를 포괄하는 증상을 설명하여 우울증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개념을 잡았습니다. 20세기 초반에는 웰헬름 슈타르크가 우울증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여 현재까지 우울증에 대한 연구와 이해가 진정 되었습니다.
우울증은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되는 정신 건강 질환으로
1. 생물학적 요인 : 뇌화학 불균형이나 유전적 요인
2. 심리적 요인 : 긍정적인 자아 이미지 부족, 스트레스, 정서적인 외상, 삶의 변화, 대인 관계문제
3. 사회적 요인 : 가난, 괴로움, 사회적인 스트레스, 사회적인 지원부족
4. 생활 양식과 건강 상태 : 불규칙한 수면패턴, 유해한 약물 사용, 신체질환
위의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마다 다양한 원인과 상황에 따라 발생될 수 있으나, 모든 원인을 알아내기는 어렵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우울증을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적절한 치료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삼성서울병원에서 운영하는 우울증 자가진단 테스트 이오니 참고주세요
우울증의 주요 증상(초기증상)
다양한 요인들(유전적,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우울증은 다음과 같은
중요 증상이 있습니다.
우울증의 주요 증상 (초기증상 포함) | |
슬픔, 우울, 무기력한 기분 | 흥미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 |
원래 흥미가 있는 활동에 대한 관심도 떨어짐 | 체력 저하, 피로, 에너지 부족 |
집중력과 판단력 저하 | 자존감 저하, 자기 비하적인 생각 |
수면 문제 (불면 또는 과잠) | 식욕변화 (과식 또는 식욕부진) |
무기력한 몸 상태 | 사회적 및 대인 관계 문제 |
안좋은 생각 및 행동 |
우울증은 치료 가능한 질환으로 다양한 치료방법이 있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치료 방법에는 약물 치료, 심리치료, 사회적 지원, 건강한 생활습관과 스트레스 관리, 정기적인 운동, 적절한 수면 등이 포함 됩니다.
항우울제와 부작용
항우울제 ( 우울증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 )
대표적인 항우울제에는
1. SSRI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 세로토닌 수치를 높이는 작용을 통해 우울증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SSRI 약물로는 프로자크, 세로토닌, 셀렉사 등이 있는데, 이들 약물을 일반적으로 부작용이 작아서 효과적으로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2. TCA (삼환 항우울제) :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우울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TCA에는 엘라빌, 노버틸등이 있는데 효과적이지만 부작용이 다른 약물들에 비해 많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3. SNRI (이차 양성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두 개의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두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여 우울증 증상을 완화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SNRI 약물을 우울증 외에도 ADHD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와 불안 장애 등 다른 정신질환 치료에도 사용되는데
베나프렉신, 델록세틴, 레버미넥틴 등의 있습니다.
항우울제약의 부작용은
대표적으로 위장장애, 수면장애, 성욕 저하, 정관 기능 저하, 두통, 어지러움, 무기력 등을 나타납니다.
항우울제 처방방식
개인의 상황과 우울증의 특성을 고려하여 항우울제가 처방되곤 하는데,
1. 증상과 우울증의 유형 : 감정적인 증상, 신체적인 증상에 따라 구분
2. 개인의 의료기록 : 기존의 다른 질환, 약물 알러지, 기타 의약품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구분
3. 개인의 생리학적 특정 : 약물의 대사와 흡수에 따른 구분
4. 이전 치료 반응 : 실제 처방 후 약물의 효과에 따른 처방 변경
위의 요인들을 고려하여 개인에게 적합한 항우울제가 선택되고 처방됩니다. 처방 과정에서 의사와의 소통 및 환자의 피드백이 중요하며,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링 하고 조정하는 것이 필요 합니다.
오늘은 간단한 우울증 테스트 방법과 함께 우울증에 사용되는 약물과 초기증상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만약 우울증 증상들이 있다면 스스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면서 자기자신을 수용하는 태도를 가질때, 자신의 감정과 증상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주변 친구들이나 심리 전문가를 통해 소통하고 감정을 나누는 일을 시작함으로 우울증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며, 긍정적인 생각과 행동을 통해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것 또한 많은 도움이 됩니다.
'건강에 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마종자유 효능 부작용 및 가격 비교분석 먹는방법까지 (0) | 2023.05.31 |
---|---|
다래끼 빨리 낫는법 초기증상 이유 다래끼 째기 전염여부 (4) | 2023.05.30 |
공먹젤 종류와 성분분석과 부작용 판매하는곳 알려 드립니다. (2) | 2023.05.25 |
루테인지아잔틴과 루테인은 다른가요? 효능 효과 부작용에 대해서 (0) | 2023.05.24 |
뇌경색 뇌졸중 초기 전조증상과 원인 대처방법에 대하여 (0) | 2023.05.22 |
댓글